특허·논문·인력 살펴보니…삼성전자·네이버·LG, 국내 'AI 경쟁력' 톱3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했다.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을 대상으로 했으며 항목별 1위 기업의 수치를 100점으로 환산, 나머지 기업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평가했다.
국내 기업 중에선 삼성전자가 각 부문에서 600점 만점을 기록하며 종합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인력 5만872명, AI 전공인력 2만8058명 등 조사 대상 각 항목에서 최상위권의 성과를 보였다. 그 뒤를 이어 네이버는 논문 등재(25건)와 인용(247회) 등 학술 부문에서 강점을 보였다. 또한 AI 관련 특허는 204건을 등록했고, AI 기술인력은 2113명, 전공인력은 838명으로 집계됐다. LG 역시 특허 등록 400건, 특허 피인용 529회, 논문 19건 등으로 집계됐다. LG의 경우, LG그룹 내 AI 연구를 총괄하는 LG AI연구원과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의 역량을 합산해 평가했다. LG는 AI 기술 및 전공 인력 수에서도 각각 7958명, 3006명을 기록했다. 또한 크래프톤를 비롯해 KT, 쿠팡, 현대차, 삼성SDS, SK텔레콤, 스트라드비젼 등이 AI 경쟁력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AI 영상 인식 SW 스타트업인 스트라드비젼은 특허 145건(피인용 68회)을 등록했다.